


2022
Digital Image
SIWOL HYUN






















* 이미지 클릭 시, 화면 규격에 알맞은 사이즈로 조정됩니다.
* クリックすると画像のサイズが調整されます。
* click to fit an image to your screen.
* クリックすると画像のサイズが調整されます。
* click to fit an image to your screen.








작품 소개
작품의 제목은 이중적인 의미를 표현한 < I / ♥ >이다. 숫자 1과 조합하여 사랑분의 1. 영어 I와 조합하여 I love…로서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사진으로 담아낸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부제목으로는 4D=3차원 공간+시간(계절)으로 작품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싶었다.
돌이켜 보면 이미 추억이 된 시절이 당시에 느꼈던 것보다 훨씬 아름답게 느껴진다. 여름은 잊지 못할 추억의 순간으로 미화되고, 그렇게 우린 또 한여름 더위에 속아버린다. 그 미화된 조각조차 내가 사랑하는 것들의 일부이며, 모든 주체들은 곧 나의 작품의 대상이기도하다.
계절은 다른말로 4개의 기쁨(4Delight), 4개의 경계(4Demarcation)이며, 단계적 변화 속 색이 주는 즐거움은 삶이 준 유일한 마약이기도 하다.
작품이 촬영된 장소는 모두 한국이며, 4개의 계절을 표현한 사진을 랜덤배치함으로서 계절에 대한 보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사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부가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텍스트화를 최소화 하였다.
作品紹介
作品のタイトルは2つの意味を示した「 I / ♥ 」である。数字の1と組み合わせるなら、愛分の1。英語のIと組み合わせるなら、I love…。「4D=3次元空間+時間(季節)」という意味を込めて、作品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表現した 。
振り返ってみると、すでに思い出になっている時代は、その当時に感じたものより、はるかに美しく感じられる。夏は忘れられない思い出の瞬間として美化され、私たちはまた真夏の暑さに騙されてしまう。その美化された記憶の彫刻さえ私が愛するものの一部であり、すべての主体はすなわち私の作品の対象になる。
季節は別名で4つの喜び(4Delight)、4つの境界(4Demarcation)であり、段階的変化の中で色彩が与える楽しみは、人生が与えた唯一の麻薬だと考えている。作品が撮影された場所はいずれも韓国であり、4つの季節を表現した写真をランダム配置することで、季節に対する普遍的な見方から脱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意図した。
Artist statement
The title of the work is < I / ♥ >, which expresses multiple meanings. It can be read as a fraction of the heart, or “one over heart.” It can also mean "one love” or "I love".
I want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work with 4D = 3 Dimensions + time (season).
Looking back, the days that have already become memories feel much more beautiful than they felt at that time. Summer is glorified as moments of unforgettable memories, and we are again deceived by the midsummer heat. Even those glorified sculptures are a part of what I love, and all these subjects are also objects of my work.
The seasons are in other words ‘Four Delights’ and ‘Four Demarcations’, and the pleasure of colors changing with each phase are the only narcotic that life offers.
These works were all taken in Korea, and by randomly arranging photos expressing the four seasons, the intention is to escape a universal or singular view of the seasons.














작가 소개
전시 주제를 떠올리며 ‘내가 사랑하는 것들은 과연 영원할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고, 사진을 시작한 이유이자 단 하나의 대상 ‘노을’이 떠올랐다. 태양은 단순해 보여도 태양의 빛으로 사물을 마주한 모습은 전혀 단순하지 않아서 참 좋아한다. 경계 없이 사방으로 퍼지는 빛이 공평해서일까?
영원의 반대말은 ‘시간’ 또는 불교에서는 시간의 최소단위 ‘찰나’라고도 표현한다. 즉, 영원속 찰나를 사랑한다. 내 시선은 마치 카메라 프레임 속 피사체인 듯 세상을 바라본다.
作家紹介
展示のテーマについて考えている間、「私が愛するものは果して永遠だろうか?」という疑問が生じた。そして、写真を撮り始めた理由であり、たった一つの対象であった「夕焼け」のことを思い出した。太陽は単純に見えても、太陽の光を浴びているものの姿は全く単純ではない。それが本当に好きだ。境界なく四方に広がる光が平等だからだろうか。
永遠の対義語は「時間」。仏教では時間の最小単位を「刹那」とも表現する。 私は、永遠という長い時間軸の中に置かれている「刹那」を愛する。私はカメラフレームの中の被写体を見るように、世の中を眺めている。
About the artist
As I thought about the theme of the exhibition, I wondered, "Will the things I love last forever?"
The opposite of eternity is 'time' or, in Buddhism, the smallest unit of time, 'a moment'. In other words, I love the moment of eternity. I look at the whole world as if I was looking at the subject in the camera frame.
In thinking about this idea of the moment and eternity, I realized that I started taking photos because of the sunset.
Although the sun looks simple, I like the way it faces everything around it with its light, this is not a simple thing at all. Is this because its light spreads in all directions, without boundaries? Is this a kind of justice?